CHAPTER 1: UNCOMFORTABLENESS
1장: 불쾌
When you see the robot that extremely resembles with human, people usually feel it is uncomfortable. This is the concept of “Uncanny“ from Sigmund Freud. And “Uncanny Valley” is the theory that there is a specific point that people feel uncomfortable about the objects that resemble with human. I also have a lot of experiences with this theory. Based on this theory, I was inspired by images and things that I feel uncanny in some way, and developed my collection. I tried to convey the mood of uncanny in my lookbook and designs by showing confusion, dizziness, and distortion.
사람과 너무나도 닮은 인형이나 로봇을 보고 불편한 감정을 느낀적이 있는가? 이론적으로 이것을 “불쾌한 골짜기”라고 한다. ‘Uncanny(이상한, 묘한)’라는 단어의 개념은 심리학자 프로이드로부터 온 단어이고, 이 단어를 확장시킨 개념이 불쾌한 골짜기이다. 인형이든 로봇이든 인간이랑 다르게 생기지 않았을때는 친근감을 느끼다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게 사람과 닮기 시작하면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는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가져와, 내가 느끼는 나만의 익숙한 것, 그렇지만 어느 수준을 넘어서는 불편함을 느끼는 이미지나 물건을 골랐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에서 영감을 받아 컬렉션 디자인을 해보았다. 나만의 불쾌한 골짜기를 보여주는 컬렉션인 셈이다. 또한, 이러한 개념을 그대로 전해주기 위해 룩북과 컨셉비디오 또한 제작을 해보았다.
When you see the robot that extremely resembles with human, people usually feel it is uncomfortable. This is the concept of “Uncanny“ from Sigmund Freud. And “Uncanny Valley” is the theory that there is a specific point that people feel uncomfortable about the objects that resemble with human. I also have a lot of experiences with this theory. Based on this theory, I was inspired by images and things that I feel uncanny in some way, and developed my collection. I tried to convey the mood of uncanny in my lookbook and designs by showing confusion, dizziness, and distortion.
사람과 너무나도 닮은 인형이나 로봇을 보고 불편한 감정을 느낀적이 있는가? 이론적으로 이것을 “불쾌한 골짜기”라고 한다. ‘Uncanny(이상한, 묘한)’라는 단어의 개념은 심리학자 프로이드로부터 온 단어이고, 이 단어를 확장시킨 개념이 불쾌한 골짜기이다. 인형이든 로봇이든 인간이랑 다르게 생기지 않았을때는 친근감을 느끼다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게 사람과 닮기 시작하면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는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가져와, 내가 느끼는 나만의 익숙한 것, 그렇지만 어느 수준을 넘어서는 불편함을 느끼는 이미지나 물건을 골랐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에서 영감을 받아 컬렉션 디자인을 해보았다. 나만의 불쾌한 골짜기를 보여주는 컬렉션인 셈이다. 또한, 이러한 개념을 그대로 전해주기 위해 룩북과 컨셉비디오 또한 제작을 해보았다.